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국내 대학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히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MIT)와 가장 내실 있고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
지난해 'AI 국제협력사업'을 위해 연구협약을 체결한 GIST 교수들은 MIT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연구소(CSAIL)' 소속 연구자와 매칭 방식으로 하나의 연구그룹을 구성해 공동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2025년까지 총 5년간 200억원 규모 공동 연구를 위해 △다양한 모달리티에서 효율적인 대조 학습 △마이크로 바이옴 신약 개발 등 총 6건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는데 모두 AI를 활용한 융합 연구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 최고인 미국 MIT와 내실 있고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 두 대학 연구진의 AI 공동 연구를 위한 워크숍.>
올해 대면 행사가 재개되면서 두 대학은 워크숍과 세미나를 통해 연구진 간 활발한 교류를 도모하고 있다. GIST는 지난달 김홍국·전문구 교수(이상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가 박사과정생 6명과 함께 MIT를 방문, 공동 연구팀인 디나 카타비·피오트르 인딕 교수와 함께 '새로운 모달리티와 계산 효율적인 대조 학습 연구'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부적으로 △음성·영상·고주파(RF) 신호·생체 데이터에 효율적인 대조 학습 공동 연구 △지스트 음성 데이터 처리 기법 및 신경망 모델을 MIT 생체 데이터에 접목하는 연구 △지스트 효율적인 신경망 모델에 대한 MIT의 수학적 유도 △지스트가 개발 중인 에지 디바이스에서의 효율적인 연합학습에 대한 협력 연구 등 구체적인 연구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지난 7월에는 박지용 기획처장과 박기홍 연구처장이 직접 MIT CSAIL을 방문해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공동 연구를 중간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GIST는 공동 연구뿐 아니라 연구에 참여하는 박사 후 연구원 및 대학원생 간 교류를 통해 AI 분야 전문 인력 양성에도 협력하고 있다. 김승준 융합기술학제학부 교수팀은 지난해 MIT를 방문해 공동 연구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직접 확인하고 센서 제작에 합류했으며 7월 워크숍에 대학원생 8명과 학부생 2명과 함께 참여했다.
두 대학의 협력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손진희 GIST AI대학원 교수와 디나 카타비 MIT 교수는 대조 학습을 이용한 동영상 내에서의 객체 추정 기법과 고주파 신호로부터 인간의 동작을 센싱하는 기법을 각각 컴퓨터 비전 관련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송영민·전해곤·정현호 교수는 '전방위 모션 검출을 위한 AI와 결합된 겹눈 광학 하드웨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를 통해 농게의 눈을 생체 모방한 360도 수륙양용 카메라를 개발해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논문을 싣기도 했다.
최근 MIT를 방문한 김홍국 교수는 “MIT 교수진 및 학생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연구 분야를 더욱 융합·확장하고 연구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
[Link]
Comentarios